자궁 따뜻하게 하는 방법 실천해서 자궁 냉증 탈출하기
자궁의 냉적을 풀어주는 관원혈
자궁냉체질의 여성은 아랫배에 쌓인 차갑고 단단한 덩어리인
냉적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분들께는 자궁을 따뜻하게 양기를 돋우어주고,
인체내부의 장기에 원기를 넣어주는 관원혈을 추천합니다.
관원혈을 눌렀을 때 단단하게 뭉쳐 돌덩이 같은 것이 느껴지면
자궁에 냉적이 많이 쌓여 있다는 뜻입니다.
뭉쳐서 단단한 것이 사라질 때까지 지압을 통해서
풀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관원혈의 위치
관원혈은 "단전'이라고도 하는데, 배꼽과 치골뼈 사이를
5등분 했을 때 아래에서 2번째에 있는 혈입니다.
>> 관원혈 지압하는 방법
- 손의 2,3,4번째 손가락을 모아서 지그시 누릅니다.
( 누른 상태에서 시계 방향이나 혹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리듯이 해도 좋습니다.)
- 숨을 내쉬면서 3-5초 깊게 누른 후 숨을 들이쉬면서 손을 천천히 뗍니다.
- 매일 30~50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체온을 높이는 손끝 발끝 털기 (모관 운동)
자궁냉체질 여성이 가장 힘들어하는 것이 수족냉증, 하복부 냉증, 잦은 감기입니다.
우리 몸의 온도가 떨어지면 혈관이 수축되면서 피가 원할하게
순환되지 못하여 심장에서 가장 멀리 있는 손과 발의 끝까지 혈액을
순환시키지 못합니다.
그래서 손발이 차갑게 되고 하복부도 냉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런 경우 몸의 체온을 올려주는 것이 중요하기 떄문에
손과 발의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을 도와서 체온을 올릴 수 있는
손끝 발끝 털기, 즉 모관 운동을 추천합니다.
>> 손끝 발끝 털기(모관 운동) 방법
- 자리에 편하게 눕습니다.
- 두 팔과 두 다리를 몸통과 직각이 되도록 올립니다.
- 팔과 다리를 충분히 흔들어줍니다.
- 1분 정도 흔들고 편하게 내립니다.
- 1분씩 10회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매일 밤 잠자기 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피해야 할 운동
- 수영, 스키, 스노보드 등
몸을 차갑게 하는 것은 피하고 따뜻하게 보호하라
>> 온찜질과 반신욕
자궁냉체질 여성은 항상 몸의 온도를 어떻게 높일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겨울철에는 냉기가 피부와 온몸으로 스며드니 붙이는 핫팩을 이용해야
외출이 편하다고 하는 여성들이 있는데, 대부분 자궁냉체질 입니다.
이처럼 본인 건강은 스스로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이렇게라도 관리를 하지 않으면 추운 겨울철 퇴근 후
기운은 완전히 바닥나고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 됩니다.
잠자기 전에 하복부에 온찜질을 하거나 반신욕을 하면
하복부와 추위에 수축된 골박 내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어 활기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 따듯한 옷차림
요즘은 여름철에도 조심해야 하는데요. 무더위에 미니스커트나 핫팬츠를
입는 경우가 많은데 차가운 냉방 바람을 쐬다 보니
하체와 자궁이 더 차가워지기 쉽습니다.
그로 인해서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항상 몸을 따뜻하게 관리 하셔야 합니다.
[동의보감]에 보면 "몸이 차가워지면 오장육부가 약해지고 음식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하여 몸에 좋지 못한 기운이 쌓여서 질병을 일으킨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도 체온이 1도 떨어지면 면역력은 30% ,
기초대사력은 12%가 떨어진다고 하는데요.
체온이 1도 올라가게 되면 피의 흐름이 좋아지고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해지고
신진대사가 촉진되어 면역력이 올라가게 됨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식이요법
>> 아이스커피, 차가운 음식 금물
자궁냉체질 여성이 면역력을 지키기 위해서 꼭 피해야 할 음식이 있습니다.
바로 찬 음식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먹는다고 함께 아이스커피와 빙수를 즐겨 먹으면 안된다는 거지요.
그뿐만 아니라 차가운 물, 음료 등은 꼭 피해야 하고요.
과일은 보통 냉장 보관하는데 냉장고에서 갓 나온 냉한 과일을 바로 먹기보다는
실온에서 10분 정도 놓았다가 냉기가 살짝 가신 다음에 드시면 탈도 없고 영양흡수가 더 잘됩니다.
냉한 사람이 냉한 과일을 먹게 되면 그렇지 않아도 차가운 위와 장을
더 차갑게 자극만 할 뿐 영양분을 흡수할 수 없습니다.
>> 회, 샐러등 등 날 음식 줄이기
그와 마찬가지로 찬 성질의 맥주나 생선회 같은 날 음식을 자주 먹게 되면
위와 장이 더 냉해져서 소화불량, 복통, 설사를 유발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설사가 잦으면 영양 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살이 빠지면서 기력은 점차 떨어지고 항상 피곤함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섬유소가 많은 샐러드가 몸에 좋기는 하지만 자궁냉체질 여성은
생으로 먹기보다는 살짝 익히거나 데쳐서 드시는 것이
소화도 잘되고 영양분의 흡수가 더 잘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익힌 음식, 구운 음식을 먹는 것이 면역력을 지키는 방법입니다.
>>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매운맛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매운맛을 억지로라도
조금씩 먹는것이 좋은데요.
매운맛의 자극은 혈관을 확장시켜 말초까지 혈액을 잘 돌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매운맛을 내는 식재료에는 고추, 양파, 파, 마늘, 후추, 강황,무, 겨자등이 있습니다.
자궁냉체질의 여성은 위장 운동이 약하고 소화액의 분비가 적기 때문에
소화력이 떨어지기 쉽습니다.
매운맛은 입안의 침샘을 자극하고
위장 점막의 위액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기능을 도와줍니다.
다만, 매운맛을 땀 낼 정도로 많이 먹으라는 것이 아니라
몸이 따뜻해질 정도로만 먹을 것을 권장합니다.
너무 많이 먹으면 땀 배출이 많아져서
몸이 더 냉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차가운 성질의 쓴맛은 피하라
쓴맛은 보통 채소나 뿌리음식에 많이 들어 있는데요.
생으로 먹게 되면 이 쓴맛은 몸속의 열을 대변으로 배출시켜 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한마디로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쓴맛을 먹게 되면 몸이 더 차가워질 수 있습니다.
영양소가 많은 채소나 뿌리음식을 먹을 때에는 꼭 생으로 먹기보다는
데치거나 볶아서 찬 기운을 살짝 제거한 다음에 드시면
좋은 영양소를 더 잘 흡수할 수 있고 몸이 냉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좋은채소 - 생강, 토란, 냉이, 달래, 호박, 마늘, 부추, 감자, 고추, 쑥, 파프리카 등
> 좋은 곡식 - 찹쌀, 백미
> 좋은 과일 - 사과, 복숭아, 앵두, 무화과, 밤
> 좋은 육류 - 닭고기, 소고기, 붕어, 조기, 대구, 미꾸라지, 양고기, 염소고기 등이 있습니다.